
VarnishAdmin::banUrl을 설정한 후에도 해당 URL이 접근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1. VarnishAdmin::banUrl을 설정한 후, Varnish 캐시를 삭제하거나, 캐시를 리프레시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2. Varnish 캐시를 삭제하는 방법은, VarnishAdmin에서 'Cache' 탭을 클릭하고, 'Purge' 버튼을 클릭하여 캐시를 삭제하거나, 'vcl' 파일에 'ban' 명령을 추가하여 캐시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3. 캐시를 리프레시하는 방법은, VarnishAdmin에서 'Cache' 탭을 클릭하고, 'Refresh' 버튼을 클릭하여 캐시를 리프레시하거나, 'vcl' 파일에 'ban' 명령을 추가하여 캐시를 리프레시할 수 있습니다.
VarnishAdmin::banUrl을 설정하면 Varnish 캐시가 자동으로 삭제되지 않습니다. 캐시 삭제에 대한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VarnishAdmin에서 'vcl' 파일을 편집합니다.
2. 'vcl' 파일에 'ban' 명령을 추가하여 캐시를 삭제하거나, 캐시를 리프레시하는 명령을 추가합니다.
3. 'vcl' 파일을 저장하고, Varnish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vcl' 파일에 'ban' 명령을 추가하여 캐시를 삭제하는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hostingforum.kr
bash
sub vcl_recv {
if (req.url == "/blocked-url") {
ban("req.url == /blocked-url");
return (synth(405, "Method Not Allowed"));
}
}
이 예제에서는 '/blocked-url' URL이 접근할 때, 캐시를 삭제하고 405 오류를 반환합니다.
2025-04-02 1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