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rr.lastIndexOf(value) 메서드는 배열(arr)에 특정 값(value)이 마지막으로 나타나는 인덱스를 반환합니다. 만약 value가 배열(arr)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메서드는 -1을 반환합니다.
value가 배열(arr)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arr.lastIndexOf(value) 메서드를 사용하여 value가 배열(arr)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만약 반환값이 -1이 아니라면 value가 배열(arr)에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 arr.includes(value) 메서드를 사용하여 value가 배열(arr)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만약 반환값이 true이면 value가 배열(arr)에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위의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let arr = [1, 2, 3, 2, 1];
console.log(arr.lastIndexOf(2)); // 3
console.log(arr.lastIndexOf(4)); // -1
위의 예시에서 arr.lastIndexOf(2) 메서드는 2가 마지막으로 나타나는 인덱스를 반환합니다. 따라서 반환값은 3입니다.
반면에 arr.lastIndexOf(4) 메서드는 4가 배열(arr)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1을 반환합니다.
value가 배열(arr)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console.log(arr.lastIndexOf(2) !== -1); // true
- console.log(arr.includes(2)); // true
위의 예시에서 console.log(arr.lastIndexOf(2) !== -1); // true은 2가 배열(arr)에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console.log(arr.includes(2)); // true도 2가 배열(arr)에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2025-05-21 1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