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CP Keepalive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커니즘입니다. Keepalive 타임아웃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보내는 Keepalive 패킷이 클라이언트에서 받을 수 없을 때, 서버가 연결을 끊는 시간입니다.
Keepalive 타임아웃을 설정하는 방법은 TCP Keepalive 옵션을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Linux 시스템에서 TCP Keepalive 옵션을 사용하여 Keepalive 타임아웃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ysctl.conf 파일을 열고, net.ipv4.tcp_keepalive_time 옵션을 설정합니다.
2. sysctl -p 명령어를 사용하여 sysctl.conf 파일을 적용합니다.
만약, Keepalive 타임아웃이 설정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유지하지 못하고, Keepalive 패킷을 받지 못할 경우, 서버는 연결을 끊습니다. 이러한 경우, 클라이언트는 Keepalive 패킷을 받지 못했을 때, 서버가 연결을 끊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eepalive 패킷을 보내는 주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Keepalive 패킷을 보내는 주기를 설정하는 방법은 TCP Keepalive 옵션을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Linux 시스템에서 TCP Keepalive 옵션을 사용하여 Keepalive 패킷을 보내는 주기를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ysctl.conf 파일을 열고, net.ipv4.tcp_keepalive_intvl 옵션을 설정합니다.
2. sysctl -p 명령어를 사용하여 sysctl.conf 파일을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net.ipv4.tcp_keepalive_time=30, net.ipv4.tcp_keepalive_intvl=10으로 설정하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30초마다 Keepalive 패킷을 보내고, Keepalive 패킷을 보내는 주기는 10초로 설정됩니다.
2025-05-04 2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