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켓 생성 함수 `socket()`의 두 번째 인자로 사용되는 `domain`과 `type`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domain`은 소켓이 사용할 프로토콜을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AF_INET`은 IPv4를 사용하는 소켓을 의미하고, `AF_INET6`은 IPv6을 사용하는 소켓을 의미합니다.
- `type`은 소켓의 통신 방식을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SOCK_STREAM`은 신뢰할 수 있는 전송을 의미하고, `SOCK_DGRAM`은 비신뢰할 수 있는 전송을 의미합니다.
`socket()` 함수의 반환값을 통해 소켓이 성공적으로 생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socket()` 함수는 성공적으로 생성된 소켓의 파일 디스크립터를 반환합니다. 반환값이 -1이면 소켓 생성이 실패한 것입니다.
- 성공적으로 생성된 소켓의 파일 디스크립터를 확인하여 소켓이 성공적으로 생성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켓을 통한 통신을 하기 위해 `bind()` 함수를 사용할 때, 소켓 주소 구조체 `sockaddr`의 `sin_port` 필드에 들어가는 값은 소켓이 사용할 포트 번호입니다.
- 포트 번호는 0에서 65535 사이의 값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포트 번호를 0으로 지정하면 운영 체제가 임의의 포트 번호를 할당합니다.
`listen()` 함수를 사용하여 소켓을 리스닝 모드로 설정할 때, 사용하는 인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listen()` 함수는 소켓의 리스닝 모드를 설정하는 함수입니다.
- `listen()` 함수에 사용하는 인자는 소켓의 리스닝 큐의 최대 크기입니다.
- 소켓의 리스닝 모드를 설정할 때, `listen()` 함수를 호출하여 소켓의 리스닝 모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2025-04-21 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