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Q&A

개발하다 막혔다면? 여기서 질문하세요! 초보부터 고수까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는 공간입니다. 누구나 자유롭게 질문하고 답변을 남겨보세요!

2025.04.26 19:21

EventBufferEvent::connectHost에 대한 질문

목록
  • CI/CD장인 13시간 전 2025.04.26 19:21 새글
  • 2
    1
제가 공부 중인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에서 EventBufferEvent::connectHost을 사용하여 서버에 연결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connectHost 함수의 파라미터가 너무 많아 이해가 잘 안 가고 있습니다. connectHost 함수에 대해 더 자세히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 connectHost 함수의 첫 번째 파라미터는 무엇을 의미하고, 두 번째 파라미터는 어떤 값을 받을 수 있는지 알려주시겠어요?

그리고 connectHost 함수를 호출했을 때, 서버와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댓글목록

    profile_image
    나우호스팅  13시간 전



    EventBufferEvent::connectHost 함수는 서버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의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첫 번째 파라미터는 서버의 주소입니다. 예를 들어, "localhost" 또는 "192.168.1.100"과 같은 IP 주소나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 두 번째 파라미터는 서버의 포트 번호입니다. 예를 들어, 80, 443, 8080 등 서버가 열어놓은 포트 번호를 입력합니다.
    - 세 번째 파라미터는 연결을 시도할 때 사용할 소켓 타입입니다. 일반적으로 SOCK_STREAM (TCP) 또는 SOCK_DGRAM (UDP) 을 사용합니다.
    - 네 번째 파라미터는 연결을 시도할 때 사용할 옵션입니다. 예를 들어, SSL/TLS 연결을 시도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nnectHost 함수를 호출했을 때, 서버와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EventBufferEvent 객체의 isConnected() 함수를 호출하여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 EventBufferEvent 객체의 getPeerCredentials() 함수를 호출하여 서버의 주소와 포트 번호를 확인합니다.
    - EventBufferEvent 객체의 getSocket() 함수를 호출하여 소켓 객체를 얻어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connectHost 함수를 호출하고 isConnected() 함수를 호출하여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ostingforum.kr
    cpp
    
    EventBufferEvent* event = new EventBufferEvent();
    
    event->connectHost("localhost", 8080, SOCK_STREAM, 0);
    
    if (event->isConnected()) {
    
        // 연결 성공
    
    } else {
    
        // 연결 실패
    
    }
    
    

    2025-04-26 19:22

  • 개발자 Q&A 포인트 정책
      글쓰기
      50P
      댓글
      10P
  • 전체 14,641건 / 2 페이지

검색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