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CP keepalive를 활성화한 후에도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끊었을 때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종료하지 않고 계속 대기하는 현상은 keepalive_time, keepalive_interval, keepalive_count와 같은 옵션의 설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keepalive_time: 연결이 유지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입니다. 이 시간이 지나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종료합니다.
keepalive_interval: keepalive_time이 지나기 전에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keepalive 패킷을 전송하는 간격입니다.
keepalive_count: keepalive 패킷을 전송하는 횟수입니다. 이 횟수만큼 keepalive 패킷을 전송한 후에도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유지하지 않으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종료합니다.
이러한 옵션의 설정이 올바르지 않거나,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끊었을 때 keepalive 패킷을 전송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keepalive_time, keepalive_interval, keepalive_count를 올바르게 설정합니다.
2.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끊었을 때 keepalive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을 확인합니다.
3. keepalive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하고,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확인합니다.
keepalive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끊었을 때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종료하지 않고 계속 대기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5-06-26 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