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pAliveTimeout은 TCP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입니다. 이 시간이 너무 짧으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연결이 끊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이 시간이 너무 길면 서버의 자원 낭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eepAliveTimeout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연결을 유지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면서 KeepAliveTimeout이 지나면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더 이상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연결을 끊을 수 있습니다.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면서 KeepAliveTimeout이 지나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끊지 않고 기다릴 수 있습니다.
KeepAliveTimeout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Linux 시스템에서 KeepAliveTimeout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ysctl 명령어를 사용하여 KeepAliveTimeout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ysctl net.ipv4.tcp_keepalive_time=30` 명령어를 사용하여 KeepAliveTimeout을 30초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sysctl.conf 파일을 편집하여 KeepAliveTimeout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tc/sysctl.conf` 파일에 `net.ipv4.tcp_keepalive_time = 30` 라인을 추가하여 KeepAliveTimeout을 30초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Linux 시스템의 네트워크 설정 파일을 편집하여 KeepAliveTimeout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에 `KEEPALIVE=yes` 및 `KEEPALIVE_TIME=30` 옵션을 추가하여 KeepAliveTimeout을 30초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KeepAliveTimeout을 설정할 때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연결을 유지하는 데에 적절한 시간을 설정해야 합니다. 이 시간은 일반적으로 15분에서 1시간 사이의 범위로 설정됩니다.
2025-05-15 1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