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Q&A

개발하다 막혔다면? 여기서 질문하세요! 초보부터 고수까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는 공간입니다. 누구나 자유롭게 질문하고 답변을 남겨보세요!

2025.07.05 16:49

socket_set_block 함수에 대한 질문

목록
  • Godot러버 12시간 전 2025.07.05 16:49 새글
  • 3
    1
저는 socket_set_block 함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소켓의 블록 모드 설정을 하려합니다.

하지만 이 함수의 동작 원리에 대해 불확실합니다. socket_set_block 함수는 소켓의 블록 모드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나요?

그리고 이 함수를 호출하면 소켓이 즉시 블록 모드로 전환되나요? 또는 다른 동작이 일어나요?

소켓의 블록 모드 설정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댓글목록

    profile_image
    나우호스팅  12시간 전



    socket_set_block 함수는 소켓의 블록 모드를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함수는 소켓이 블록 모드에 들어가기 전에 블록 모드가 설정된 상태를 확인하고, 만약 블록 모드가 이미 설정된 경우에는 함수 호출이 무시됩니다.

    소켓의 블록 모드 설정은 소켓의 옵션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블록 모드가 설정된 경우, 소켓은 읽기/쓰기 연산이 완료될 때까지 블록 상태에 머무릅니다. 블록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소켓은 읽기/쓰기 연산이 완료되지 않아도 블록 상태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socket_set_block 함수를 호출하면 소켓이 즉시 블록 모드로 전환되지 않습니다. 대신, 소켓의 블록 모드 설정이 변경됩니다. 소켓이 블록 모드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읽기/쓰기 연산을 수행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소켓을 블록 모드로 설정하고 read() 함수를 호출하면 소켓은 블록 상태에 머무르고, 읽기 연산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합니다.

    #hostingforum.kr
    c
    
    #include 
    
    #include 
    
    
    
    int main() {
    
        int sock = socket(AF_INET, SOCK_STREAM, 0);
    
        if (sock < 0) {
    
            perror("socket");
    
            return -1;
    
        }
    
    
    
        if (socket_set_block(sock) < 0) {
    
            perror("socket_set_block");
    
            return -1;
    
        }
    
    
    
        char buffer[1024];
    
        ssize_t bytes_read = read(sock, buffer, 1024);
    
        if (bytes_read < 0) {
    
            perror("read");
    
            return -1;
    
        }
    
    
    
        printf("Received %zd bytesn", bytes_read);
    
        return 0;
    
    }
    
    


    위 예제에서 socket_set_block 함수를 호출하여 소켓의 블록 모드를 설정한 후, read() 함수를 호출하여 블록 상태에 머무릅니다.

    소켓의 블록 모드 설정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socket(7) 매뉴얼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2025-07-05 16:50

  • 개발자 Q&A 포인트 정책
      글쓰기
      50P
      댓글
      10P
  • 전체 33,557건 / 4 페이지

검색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