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fault_storage_engine 옵션은 MySQL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할 스토리지 엔진을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MySQL 5.5 버전부터는 InnoDB 스토리지 엔진이 기본적으로 사용됩니다.
이 옵션을 설정하는 방법은 MySQL 서버를 시작할 때 옵션을 지정하거나, my.cnf 파일에 옵션을 추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MySQL 서버를 시작할 때 --default_storage_engine 옵션을 지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hostingforum.kr
bash
mysqld --default_storage_engine=InnoDB
또는 my.cnf 파일에 옵션을 추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hostingforum.kr
bash
[mysqld]
default-storage-engine=InnoDB
이 옵션을 사용하면 MySQL 서버가 지정된 스토리지 엔진을 기본적으로 사용합니다.
InnoDB와 MyISAM 스토리지 엔진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InnoDB 스토리지 엔진은 ACID(Atomicity, Consistency, Isolation, Durability) 성질을 만족하며, 롤백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잠금을 사용하여 동시성 제어를 제공합니다.
- MyISAM 스토리지 엔진은 ACID 성질을 만족하지 않으며, 롤백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잠금을 사용하여 동시성 제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InnoDB 스토리지 엔진을 사용하는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 롤백 기능이 필요하는 애플리케이션
- 동시성 제어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MyISAM 스토리지 엔진을 사용하는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읽기 전용 애플리케이션
- 성능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
- 동시성 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
2025-08-12 1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