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io_chmod 함수의 첫 번째 인자인 mode에 들어가는 값은 파일의 권한을 나타내는 3자리 수입니다. 이 값은 8진수이기 때문에 10진수로 변환하여 3자리 수를 입력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mode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첫 번째 자리: 소유자 권한 (0~7)
- 0: 읽기, 쓰기, 실행 권한 없음
- 1: 실행 권한만 있음
- 2: 읽기, 쓰기 권한만 있음
- 3: 읽기, 실행 권한만 있음
- 4: 읽기 권한만 있음
- 5: 쓰기, 실행 권한만 있음
- 6: 읽기, 쓰기 권한만 있음
- 7: 읽기, 쓰기, 실행 권한 있음
- 두 번째 자리: 그룹 권한 (0~7)
- 0: 읽기, 쓰기, 실행 권한 없음
- 1: 실행 권한만 있음
- 2: 읽기, 쓰기 권한만 있음
- 3: 읽기, 실행 권한만 있음
- 4: 읽기 권한만 있음
- 5: 쓰기, 실행 권한만 있음
- 6: 읽기, 쓰기 권한만 있음
- 7: 읽기, 쓰기, 실행 권한 있음
- 세 번째 자리: 기타 권한 (0~7)
- 0: 읽기, 쓰기, 실행 권한 없음
- 1: 실행 권한만 있음
- 2: 읽기, 쓰기 권한만 있음
- 3: 읽기, 실행 권한만 있음
- 4: 읽기 권한만 있음
- 5: 쓰기, 실행 권한만 있음
- 6: 읽기, 쓰기 권한만 있음
- 7: 읽기, 쓰기, 실행 권한 있음
예를 들어, 0755의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첫 번째 자리: 소유자 권한 (7) - 읽기, 쓰기, 실행 권한 있음
- 두 번째 자리: 그룹 권한 (5) - 쓰기, 실행 권한 있음
- 세 번째 자리: 기타 권한 (3) - 읽기, 실행 권한 있음
mode의 값에 따라 어떤 권한이 부여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 0: 읽기, 쓰기, 실행 권한 없음
- 1: 실행 권한만 있음
- 2: 읽기, 쓰기 권한만 있음
- 3: 읽기, 실행 권한만 있음
- 4: 읽기 권한만 있음
- 5: 쓰기, 실행 권한만 있음
- 6: 읽기, 쓰기 권한만 있음
- 7: 읽기, 쓰기, 실행 권한 있음
eio_chmod 함수를 사용하여 특정 파일의 권한을 변경할 때, mode의 값이 파일의 권한을 변경하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mode의 값이 0인 경우
- mode의 값이 기존의 권한과 동일한 경우
mode의 값이 파일의 권한을 변경했는데, 기존의 권한을 복원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eio_chmod 함수를 사용하여 기존의 권한을 mode의 값으로 설정하는 방법
- chmod 함수를 사용하여 기존의 권한을 mode의 값으로 설정하는 방법
예를 들어, 0755의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eio_chmod 함수를 사용하여 0755의 권한을 mode의 값으로 설정하는 방법
- chmod 함수를 사용하여 0755의 권한을 mode의 값으로 설정하는 방법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통해, eio_chmod 함수를 사용하여 파일의 권한을 변경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2025-08-14 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