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cket_set_nonblock 함수는 소켓을 블록킹 모드에서 비블록킹 모드로 전환시키는 함수입니다. 블록킹 모드인 경우, 소켓이 읽거나 쓰기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프로세스가 블록됩니다. 비블록킹 모드인 경우, 소켓이 읽거나 쓰기 작업이 완료되지 않아도 프로세스는 계속 진행됩니다.
이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네트워크 소켓을 다루는 경우, 블록킹 모드인 경우 프로세스가 블록되어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됩니다. 비블록킹 모드인 경우, 프로세스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성능이 향상됩니다.
이 함수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켓이 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에러 코드를 확인하고 적절한 처리를 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에러가 발생한 경우 다음과 같이 처리할 수 있습니다.
#hostingforum.kr
c
int fd = socket(AF_INET, SOCK_STREAM, 0);
if (socket_set_nonblock(fd) == -1) {
if (errno == EBADF) {
// 소켓이 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printf("소켓이 비활성화된 상태입니다.n");
} else if (errno == EINVAL) {
// 소켓이 비블록킹 모드인 경우
printf("소켓이 이미 비블록킹 모드입니다.n");
} else {
// 다른 에러인 경우
printf("에러가 발생했습니다.n");
}
}
이러한 예제를 통해, socket_set_nonblock 함수의 역할과 사용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2025-08-04 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