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b Buffering은 Oracle에서 제공하는 Large OBject(LOB) 데이터를 메모리에 캐싱하는 기능입니다.
LOB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큰 크기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되며, 캐싱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OCILob::getBuffering 함수는 현재 LOB Buffering의 상태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함수는 2개의 파라미터를 받을 수 있으며, 첫 번째 파라미터는 LOB의 위치를 지정하고, 두 번째 파라미터는 Buffering의 상태를 반환합니다.
Buffering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OCILob::getBuffering 함수를 호출하면, Buffering이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TRUE를 반환하면 Buffering이 활성화된 상태이며, FALSE를 반환하면 비활성화된 상태입니다.
Buffering을 비활성화하려면, OCILob::flush 함수를 호출하면 됩니다.
함수는 LOB의 캐시를 비우고, 데이터를 디스크에 저장합니다.
예제를 통해 사용 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hostingforum.kr
sql
DECLARE
l_lob BLOB;
l_status NUMBER;
BEGIN
-- LOB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l_lob := DBMS_LOB.INITIALIZEBLOB(1024);
-- Buffering을 활성화합니다.
DBMS_LOB.BUFFERING(1, TRUE);
-- Buffering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l_status := OCILob.getBuffering(l_lob, 1);
IF l_status = 1 THEN
DBMS_OUTPUT.PUT_LINE('Buffering is enabled.');
ELSE
DBMS_OUTPUT.PUT_LINE('Buffering is disabled.');
END IF;
-- Buffering을 비활성화합니다.
DBMS_LOB.BUFFERING(1, FALSE);
-- Buffering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l_status := OCILob.getBuffering(l_lob, 1);
IF l_status = 0 THEN
DBMS_OUTPUT.PUT_LINE('Buffering is disabled.');
ELSE
DBMS_OUTPUT.PUT_LINE('Buffering is enabled.');
END IF;
END;
위 예제에서, Buffering을 활성화하고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uffering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OCILob::getBuffering 함수를 호출하고, Buffering을 비활성화하기 위해 OCILob::flush 함수를 호출합니다.
2025-08-09 2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