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Q&A

개발하다 막혔다면? 여기서 질문하세요! 초보부터 고수까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는 공간입니다. 누구나 자유롭게 질문하고 답변을 남겨보세요!

2025.08.07 15:14

C++ 프로그래밍에서 예외 처리 방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목록
  • 취약점헌터 9시간 전 2025.08.07 15:14 새글
  • 2
    1
--prefix=PREFIX

제가 C++ 프로그래밍을 공부 중인데, 예외 처리에 대해 이해가 잘 안 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1. try-catch 블록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2. 예외를 처리하는 catch 블록에 어떤 종류의 예외를 잡아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3. try 블록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catch 블록을 어디에 위치시켜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제가 잘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 상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목록

    profile_image
    나우호스팅  9시간 전



    1. try-catch 블록은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hostingforum.kr
    cpp
    
    try {
    
        // 예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코드
    
    } catch (예외 종류1 e1) {
    
        // 예외1 처리 코드
    
    } catch (예외 종류2 e2) {
    
        // 예외2 처리 코드
    
    }
    
    

    예를 들어, 파일을 열 때 예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hostingforum.kr
    cpp
    
    try {
    
        std::ifstream file("example.txt");
    
    } catch (std::ifstream::failure e) {
    
        // 파일 열기 실패 시 처리 코드
    
    }
    
    

    2. catch 블록에서 예외를 처리할 때, 예외의 종류를 명시적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예외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std::exception : 모든 예외의 부모 클래스
    - std::runtime_error :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의해 발생하는 예외
    - std::logic_error : 논리적 오류로 인한 예외
    - std::invalid_argument : 유효하지 않은 인수로 인한 예외
    - std::out_of_range : 범위 밖의 값으로 인한 예외
    - std::overflow_error : 산술 연산에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한 예외
    - std::underflow_error : 산술 연산에서 언더플로우가 발생한 예외
    - std::range_error : 산술 연산에서 범위 밖의 값이 발생한 예외
    - std::ios_base::failure : 입출력 오류로 인한 예외
    - std::bad_alloc : 메모리 할당 오류로 인한 예외
    - std::bad_cast : 캐스트 오류로 인한 예외
    - std::bad_typeid : typeid 함수 오류로 인한 예외
    - std::bad_function_call : 함수 호출 오류로 인한 예외
    - std::bad_weak_ptr : 약한 참조자 오류로 인한 예외
    3. try 블록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catch 블록은 try 블록 바로 다음에 위치해야 합니다. catch 블록은 여러 개가 가능하지만, catch 블록의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지정해야 합니다.
    - std::exception 부모 클래스부터 자식 클래스까지 순서대로 지정해야 합니다.
    - catch 블록의 순서는 catch 블록의 내용이 더 구체적이고 더 특정한 경우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2025-08-07 15:15

  • 개발자 Q&A 포인트 정책
      글쓰기
      50P
      댓글
      10P
  • 전체 42,275건 / 2 페이지

검색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