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able-MODULE=static 옵션은 Linux 커널 빌드 시에 커널 모듈을 정적으로 컴파일하는 옵션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커널 모듈이 동적으로 로드되는 대신에, 커널 모듈을 정적으로 컴파일하여 커널 이미지에 포함시킵니다.
이러한 결과로, 커널 모듈이 동적으로 로드되는 것보다 더 빠른 초기화 시간과 더 작은 메모리 사용량이 가능합니다.
--enable-MODULE=static 옵션을 사용하면, 커널 모듈의 소스 코드가 커널 이미지에 포함되어, 커널 모듈을 동적으로 로드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커널 모듈의 소스 코드가 커널 이미지에 포함된 경우, 커널 모듈의 이름이 .ko 파일로 끝나지 않고, .o 파일로 끝납니다.
예를 들어, 커널 모듈의 이름이 "my_module"일 경우, 커널 모듈의 이름이 "my_module.o"로 끝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커널 모듈을 정적으로 컴파일하는 옵션인 --enable-MODULE=static 옵션을 사용할 때, 커널 모듈의 이름이 .ko 파일로 끝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커널 모듈을 동적으로 로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커널 모듈을 정적으로 컴파일하는 경우, 커널 모듈의 이름이 .o 파일로 끝나기 때문에, 커널 모듈의 이름이 .ko 파일로 끝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2025-07-22 2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