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Q&A

개발하다 막혔다면? 여기서 질문하세요! 초보부터 고수까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는 공간입니다. 누구나 자유롭게 질문하고 답변을 남겨보세요!

2025.07.28 08:12

odbc_statistics 관련 질문

목록
  • CDN광신도 9시간 전 2025.07.28 08:12 새글
  • 4
    1
저는 SQL Server에서 odbc_statistics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분석하고자 합니다.

odbc_statistics는 SQL Server에서 제공하는 성능 모니터링 도구로,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odbc_statistics를 사용하여 성능 분석을 할 때, 'wait_type'과 'wait_time_ms'의 차이점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wait_type과 wait_time_ms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성능 분석에서どのように 사용해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댓글목록

    profile_image
    나우호스팅  9시간 전



    wait_type과 wait_time_ms는 SQL Server의 성능 모니터링 도구인 odbc_statistics에서 제공하는 두 가지 중요한 통계입니다.

    wait_type은 SQL Server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대기하는 타입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LCK_M_S'는 락을 획득하기 위해 대기하는 타입을 나타내고, 'SLEEP_TASK'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대기하는 타입을 나타냅니다.

    wait_time_ms는 SQL Server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대기한 총 시간을 밀리초 단위로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wait_time_ms'가 1000이면 SQL Server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1초 동안 대기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능 분석에서 wait_type과 wait_time_ms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wait_type을 분석하여 SQL Server가 대기하는 타입을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LCK_M_S'가 가장 많은 대기를 하는 타입이라면 락을 획득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가장 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wait_time_ms를 분석하여 SQL Server가 대기한 총 시간을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wait_time_ms'가 1000 이상인 경우 SQL Server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1초 이상 대기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wait_type과 wait_time_ms를 함께 분석하여 SQL Server가 대기하는 타입과 대기한 총 시간을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LCK_M_S'가 가장 많은 대기를 하는 타입이고 'wait_time_ms'가 1000 이상인 경우 SQL Server가 락을 획득하기 위해 1초 이상 대기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SQL Server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LCK_M_S'가 가장 많은 대기를 하는 타입이라면 락을 획득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개선하거나, 'wait_time_ms'가 1000 이상인 경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를 늘려야 할 수 있습니다.

    2025-07-28 08:13

  • 개발자 Q&A 포인트 정책
      글쓰기
      50P
      댓글
      10P
  • 전체 39,577건 / 4 페이지

검색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