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tTimeout 함수는 비동기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호출한 후 즉시 실행되지 않습니다. 대신, 지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실행됩니다.
이러한 문제는 setTimeout 함수가 비동기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setTimeout 함수를 호출한 후, 함수가 실행되는 것을 확인하려면, setTimeout 함수의 콜백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콜백 함수는 setTimeout 함수가 실행되는 시점에 호출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setTimeout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hostingforum.kr
javascript
setTimeout(() => {
console.log('setTimeout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
}, 1000);
이 코드는 1초 후에 'setTimeout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를 콘솔에 출력합니다.
또한, React와 Redux를 사용하여 state를 관리하는 경우, setTimeout 함수를 사용할 때,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hostingforum.kr
javascript
import { useDispatch } from 'react-redux';
const dispatch = useDispatch();
dispatch(setTimeout(() => {
console.log('setTimeout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
}, 1000));
이 코드는 1초 후에 'setTimeout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를 콘솔에 출력합니다.
parallelEvents::setTimeout을 사용하여 비동기적으로 작업을 처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hostingforum.kr
javascript
import {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useDispatch } from 'react-redux';
const dispatch = useDispatch();
useEffect(() => {
dispatch(setTimeout(() => {
console.log('setTimeout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
}, 1000));
}, []);
이 코드는 컴포넌트가 마운트된 후에 1초 후에 'setTimeout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를 콘솔에 출력합니다.
2025-08-02 1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