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io_truncate 함수의 callback 함수에서 파일 크기를 확인하는 방법은 fs.statSync() 함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hostingforum.kr
javascript
const fs = require('fs');
eio_truncate('파일 경로', function(err) {
if (err) {
console.error(err);
} else {
const stats = fs.statSync('파일 경로');
console.log(stats.size); // 파일 크기
}
});
파일을 truncate 한 후, 파일의 내용을 다시 읽어올 때 발생하는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파일을 truncate 한 후, 파일의 내용을 다시 읽어올 때, 파일의 위치가 현재 위치에 있는 경우, 이전 내용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일을 truncate 한 후, 파일의 위치를 다시 0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hostingforum.kr
javascript
const fs = require('fs');
eio_truncate('파일 경로', function(err) {
if (err) {
console.error(err);
} else {
fs.ftruncate('파일 경로', 0, function(err) {
if (err) {
console.error(err);
} else {
const stats = fs.statSync('파일 경로');
console.log(stats.size); // 파일 크기
}
});
}
});
또한, 파일을 truncate 한 후, 파일의 내용을 다시 읽어올 때, 파일의 위치가 현재 위치에 있는 경우, 이전 내용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파일을 truncate 한 후, 파일의 내용을 다시 읽어올 때, 파일의 위치를 다시 0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hostingforum.kr
javascript
const fs = require('fs');
eio_truncate('파일 경로', function(err) {
if (err) {
console.error(err);
} else {
fs.ftruncate('파일 경로', 0, function(err) {
if (err) {
console.error(err);
} else {
const stats = fs.statSync('파일 경로');
console.log(stats.size); // 파일 크기
}
});
}
});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파일을 truncate 한 후, 파일의 내용을 다시 읽어올 때, 이전 내용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2025-08-10 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