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Q&A

개발하다 막혔다면? 여기서 질문하세요! 초보부터 고수까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는 공간입니다. 누구나 자유롭게 질문하고 답변을 남겨보세요!

2025.08.10 09:52

LogFormat 관련 질문

목록
  • 컴파일러수집가 21시간 전 2025.08.10 09:52 새글
  • 8
    1
제가 최근에 Apache 웹 서버를 공부 중인데, LogFormat에 대해 이해가 잘 안됩니다. LogFormat은 어떻게 작동하고, `%{변수명}` 형식의 변수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이러한 변수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그리고 `%` 기호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아래의 예시에서 `%h` 변수는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지 알려주시겠어요?

`LogFormat "%h %l %u %t \"%r\" %>s %b"`

    댓글목록

    profile_image
    나우호스팅  21시간 전



    LogFormat은 Apache 웹 서버의 로그 포맷을 정의하는 명령어입니다. 로그 포맷은 웹 서버가 발생한 이벤트를 기록하는 형식입니다.

    `%{변수명}` 형식의 변수는 로그 포맷에 변수를 삽입하여 로그를 기록할 때 사용됩니다. 이러한 변수는 Apache 웹 서버가 제공하는 내장 변수 또는 환경 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Apache 웹 서버에서 제공하는 내장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a` :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 `%A` :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IPv6)
    - `%b` : 요청의 바이트 수
    - `%B` : 요청의 바이트 수 (IPv6)
    - `%h` : 클라이언트의 호스트 이름
    - `%H` : 요청한 URL
    - `%l` : 클라이언트의 PID
    - `%m` : 요청한 메소드 (GET, POST, PUT, DELETE 등)
    - `%p` : 프로세스 ID
    - `%q` : 요청한 쿼리 문자열
    - `%r` : 요청한 URL과 메소드
    - `%s` : 서버의 응답 코드
    - `%t` : 요청 시간
    - `%u` : 사용자 이름
    - `%U` : 요청한 URL의 경로
    - `%v` : 서버의 이름
    - `%V` : 서버의 이름 (IPv6)

    위의 예시에서 `%h` 변수는 클라이언트의 호스트 이름을 나타냅니다.

    예시의 로그 포맷은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 `%h` : 클라이언트의 호스트 이름
    - `%l` : 클라이언트의 PID
    - `%u` : 사용자 이름
    - `%t` : 요청 시간
    - `\\\"%r\\\"` : 요청한 URL과 메소드
    - `%>s` : 서버의 응답 코드
    - `%b` : 요청의 바이트 수

    이러한 변수를 사용하여 로그 포맷을 정의하면, 웹 서버가 발생한 이벤트를 기록할 때 필요한 정보를 쉽게 추출할 수 있습니다.

    2025-08-10 09:53

  • 개발자 Q&A 포인트 정책
      글쓰기
      50P
      댓글
      10P
  • 전체 43,170건 / 7 페이지

검색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