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zeof 연산자는 구조체의 멤버 변수의 크기를 계산할 때 멤버 변수의 자료형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수형 변수(int, long, short 등)의 경우, 해당 자료형의 크기가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int는 4바이트, long은 8바이트로 크기가 결정됩니다.
- 실수형 변수(float, double, long double 등)의 경우, 해당 자료형의 크기가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float는 4바이트, double은 8바이트로 크기가 결정됩니다.
- 문자형 변수(char)의 경우, 1바이트로 크기가 결정됩니다.
- 포인터 변수의 경우, 포인터의 크기가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32비트 시스템에서는 포인터의 크기가 4바이트, 64비트 시스템에서는 포인터의 크기가 8바이트로 크기가 결정됩니다.
- 배열 변수의 경우, 배열의 크기가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int형 배열의 경우, 배열의 크기 * int의 크기가 결정됩니다.
- 구조체 변수의 경우, 구조체의 멤버 변수의 크기가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구조체에 int형 변수가 하나 있고, int형 변수의 크기가 4바이트라면, 구조체의 크기는 4바이트가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sizeof 연산자는 구조체의 멤버 변수의 크기를 계산할 때 멤버 변수의 자료형에 따라 크기가 달라집니다.
2025-06-21 12:32